2008년 01월 31일
[우분투] envy를 이용해서 NVIDIA 드라이버 설치하기
이번에 Geforce 6, 7, 8 시리즈의 리눅스용 드라이버가 169.09로 릴리즈되었길래 업데이트를 해보았다.(Release Date가 21일이었는데 너무 늦게 봤다 ㅠ.ㅠ) 이전 버전에서는 내 노트북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에 혹시나 이번 버전에서는 해결되었을까 싶어서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169 버전대의 버그인 tty 전환시 그래픽이 깨지는 현상은 여전했다. 이렇게 가다간 8.04에서도 여전히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로 그래픽 드라이버가 제공될 것 같은 불안감이 엄습한다. 어쨌든 이 문제가 하루 빨리 해결되었으면 하는 바람이고 본론으로 들어가 보자.
우분투에서 NVIDIA의 그래픽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우분투 공식 저장소를 이용해서 설치하는 것이다. 제한된 드라이버 관리자를 통해서 현재 안정 버전(100.14.19)의 그래픽 드라이버를 가장 쉬운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으나 안정 버전이라 해도 몇몇 그래픽 카드에서는 문제점이 있을 수도 있다. 내 노트북의 그래픽 카드에서 compiz 사용시 프리징 현상이 있는 것처럼 말이다.
두 번째는 NVIDIA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드라이버 소스를 컴파일해서 설치하는 것이다. 이는 초보자에게는 조금 까다로운 작업이라 안정 버전에서 별 문제가 없다면 권장하지 않는 방법이다.
세 번째는 envy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설치하는 것이다. 이것은 현재 최신 버전의 드라이버를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여기에서는 이 세 번째 방법을 이용해서 NVIDIA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자.
1. 먼저 아래 싸이트에서 각자의 시스템에 맞는 envy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다.
http://albertomilone.com/nvidia_scripts1.html
2. 다운로드한 deb 패키지를 더블 클릭하면 프로그램이 설치가 된다.
3. 패널에서 프로그램 > 시스템 도구 > Envy 를 클릭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다.

4. 여기에서 Install the NVIDIA driver 를 선택하고 적용을 누르면 알아서 설치가 된다.
설치하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알겠지만 이 프로그램은 일종의 스크립트로써 일단 기존의 드라이버를 제거하고 드라이버 소스를 받아와서 컴파일한 다음 패키지를 만들어 설치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초보자에게는 최신 버전의 드라이버를 두 번째 방법처럼 까다로운 컴파일을 직접하지 않고 하나의 프로그램을 통해서 쉽게 설치할 수 있으니 굉장히 편할 수가 있다. 시노삐님의 말씀을 빌리자면 드라이버가 꼬일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지만 아직까지는 잘 모르겠다. ㅎㅎ
우분투에서 NVIDIA의 그래픽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우분투 공식 저장소를 이용해서 설치하는 것이다. 제한된 드라이버 관리자를 통해서 현재 안정 버전(100.14.19)의 그래픽 드라이버를 가장 쉬운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으나 안정 버전이라 해도 몇몇 그래픽 카드에서는 문제점이 있을 수도 있다. 내 노트북의 그래픽 카드에서 compiz 사용시 프리징 현상이 있는 것처럼 말이다.
두 번째는 NVIDIA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드라이버 소스를 컴파일해서 설치하는 것이다. 이는 초보자에게는 조금 까다로운 작업이라 안정 버전에서 별 문제가 없다면 권장하지 않는 방법이다.
세 번째는 envy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설치하는 것이다. 이것은 현재 최신 버전의 드라이버를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여기에서는 이 세 번째 방법을 이용해서 NVIDIA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자.
1. 먼저 아래 싸이트에서 각자의 시스템에 맞는 envy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다.
http://albertomilone.com/nvidia_scripts1.html
2. 다운로드한 deb 패키지를 더블 클릭하면 프로그램이 설치가 된다.
3. 패널에서 프로그램 > 시스템 도구 > Envy 를 클릭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다.

4. 여기에서 Install the NVIDIA driver 를 선택하고 적용을 누르면 알아서 설치가 된다.
설치하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알겠지만 이 프로그램은 일종의 스크립트로써 일단 기존의 드라이버를 제거하고 드라이버 소스를 받아와서 컴파일한 다음 패키지를 만들어 설치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초보자에게는 최신 버전의 드라이버를 두 번째 방법처럼 까다로운 컴파일을 직접하지 않고 하나의 프로그램을 통해서 쉽게 설치할 수 있으니 굉장히 편할 수가 있다. 시노삐님의 말씀을 빌리자면 드라이버가 꼬일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지만 아직까지는 잘 모르겠다. ㅎㅎ
# by | 2008/01/31 10:33 | 우분투 | 트랙백 | 덧글(11)
인텔은 오픈소스 드라이버라 자잘한 문제들은 금방금방 수정이 되어서 좋은데 굵직굵직한 문제들(동영상같은)은 수정이 안되는군요=_= 전 compiz는 항상 on되어 있습니다.
하나둘 단축키들도 손에익어가면서 작업이 정말 효율적이게 되는것을 느낍니다
저사양에서 속도를 생각해야한다면 에니메이션 효과는 전부 끄고 Desktop Wall, Scale, Andanote, 같은 기능성 확장기능들만 사용하시는것도 요령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아 그리고 화면 전환시 깨짐이라는게 그 사용자전환이나, tty1 tty2 모드시 이상하게 되는 그현상을 말씀하시는가보군요
예전에 언젠가 언급하셨던 그부분인거같은데 가만 보니 저도 그렇더군요 ㅠ_ㅠ
아 ... 이게 버그다니..
갑자기 흐려졌다가 다시 되돌아 오는현상이요...그리고 테마사용하면 제목표시줄 쪽에 닫기 버튼이 깨지구요 현재 compiz끄니간 없어지긴 했는데 먹통 되는건 어느 정도 횟수가 줄긴 했습니다만 이거땜에 조금 답답하죠 ㅜ
하지만 화려한효과만이 아니라 편리한 기능이 많아서
저도 컴피즈는 언제나 활성화시켜둡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