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01월 15일
우분투에서 오페라 브라우저 사용하기!!
많은 유저들이 가벼우면서도 강력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칭찬하는 오페라 브라우저가 과연 어떤 것일까 그동안 궁금했었다. 그래서 결국 한번 써보기로 했다. 우분투에서 설치는 쉽게 프로그램 > 추가/제거... 에서 할 수 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역시 우분투답다. ㅎㅎ
설치된 오페라 브라우저의 버전은 9.25이다. 지금 개발 버전이 9.50이던가... 정확하게는 모르겠다. ㅎㅎ 아무튼 우분투 7.10에서 설치된 9.25버전의 오페라 브라우저는 아래와 같이 생겼다.

일단 메뉴는 영어로 되어 있다. 한글 버전도 있다는데 어떻게 하는지는 모르겠다. ㅡㅡ;; 겉으로는 다른 브라우저와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아 사용하기에는 별 어려움이 없을 것 같다.
첫느낌은 정말 가볍다는 것이다. 실행하자마자 바로 뜨는 게 이런 면에서는 파폭보다 훨 좋은 것 같다. 대신 처음에 설치되었을 때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본 폰트가 정말 마음에 안 든다. 설정에서 바꾸면 되겠지 했지만 폰트를 바꿔도 적용이 안된다. 또한 몇 가지 한글 폰트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글자가 깨져 보여 무슨 폰트인지 알 수가 없다.

폰트를 바꾸는 방법은 구글링으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위 화면과 같은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인코딩 방식의 문제인 것 같은데 이런 쪽으로는 잘 몰라서 해결 방법을 못 찾겠다. 어쨌든 폰트를 바꾸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1. ~/.opera/opera6.ini 파일을 수정한다.
플래쉬 플러그인은 기본적으로 파이어폭스에 플래쉬 플러그인이 설치되었다는 가정 하에 오페라에서는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1. ~/.opera/pluginpath.ini 파일을 수정한다.
설치된 오페라 브라우저의 버전은 9.25이다. 지금 개발 버전이 9.50이던가... 정확하게는 모르겠다. ㅎㅎ 아무튼 우분투 7.10에서 설치된 9.25버전의 오페라 브라우저는 아래와 같이 생겼다.

일단 메뉴는 영어로 되어 있다. 한글 버전도 있다는데 어떻게 하는지는 모르겠다. ㅡㅡ;; 겉으로는 다른 브라우저와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아 사용하기에는 별 어려움이 없을 것 같다.
첫느낌은 정말 가볍다는 것이다. 실행하자마자 바로 뜨는 게 이런 면에서는 파폭보다 훨 좋은 것 같다. 대신 처음에 설치되었을 때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본 폰트가 정말 마음에 안 든다. 설정에서 바꾸면 되겠지 했지만 폰트를 바꿔도 적용이 안된다. 또한 몇 가지 한글 폰트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글자가 깨져 보여 무슨 폰트인지 알 수가 없다.

폰트를 바꾸는 방법은 구글링으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위 화면과 같은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인코딩 방식의 문제인 것 같은데 이런 쪽으로는 잘 몰라서 해결 방법을 못 찾겠다. 어쨌든 폰트를 바꾸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1. ~/.opera/opera6.ini 파일을 수정한다.
$ sudo gedit ~/.opera/opera6.ini2. [User Prefs] 섹션에 아래 내용을 추가한다.
Enable Xft=03. Tools > Preferences 의 Web Pages 탭과 Advanced 탭을 통하여 폰트를 수정한다.
Enable Core X Fonts=0
플래쉬 플러그인은 기본적으로 파이어폭스에 플래쉬 플러그인이 설치되었다는 가정 하에 오페라에서는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1. ~/.opera/pluginpath.ini 파일을 수정한다.
$ sudo gedit ~/.opera/pluginpath.ini2. [Paths] 섹션에 아래 내용을 추가한다.
$HOME/.mozilla/plugins=1
+ 한글 언어팩 설치 방법(댓글의 독극물님 팁 인용)
1. 먼저 http://www.opera.com/download/languagefiles/ 에서 해당 버전의 한글 언어팩을 다운 받는다.
2. 다운 받은 파일을 /usr/share/opera/locale 로 복사한다.
1. 먼저 http://www.opera.com/download/languagefiles/ 에서 해당 버전의 한글 언어팩을 다운 받는다.
2. 다운 받은 파일을 /usr/share/opera/locale 로 복사한다.
$ sudo cp ouw925_ko.lng /usr/share/opera/locale3. 오페라 브라우저의 메뉴에서 Tools > Preferences > General 탭의 Language 부분의 Details... 안에서 해당 파일을 선택하면 한글 메뉴를 사용할 수 있다.
# by | 2008/01/15 16:31 | 브라우저 | 트랙백 | 덧글(8)
굴림,돋움 같은 글꼴은 잘 나오지만,
은돋움 같은건 어색하게 나오더군요.
한번 써봐야겠네요. ^^
오페라가 파폭의 부가 기능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비슷한 기능만 있다면 오페라 하나로만 끝장을 볼 텐데.. 그 부분이 참 아쉬워요.. (위젯으론 참 힘들지요;;)버젼 10 정도 되면 생길려나..
-A2-님 // 오페라도 나름 쓸만하네요~ 즐겨보세요~ ㅎ
독극물님 // 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파폭의 확장 기능과 비교해서 오페라에서 쓸 수 있는 방법을 어떤 문서에서 봤는데~ 혹시나 못 보셨다면 조금 후에 포스팅할 생각이니 관심있으시면 보세요~^^
4RangHeYo // 좋겠네~ 미쿡 잘 갔다 와랏!!
나인테일님 // 그렇군요~ 뭐 각각의 브라우저마다 장단점이 있기 마련이겠죠~ㅎㅎ
떠돌이님 // 다시 한번 깔아서 이번엔 10분 정도는 사용해보세요.. ㅋㅋ
저는 답답한나머지 윈도우 오페라에서 랭귀지파일을 떼어와서 억지로 붙여 썼었답니다ㅡㅠㅡ;;
그다지 문제는 없었는데 결데이트확인을 못하더군요.
그런데 새로 한글파일을 바꿔도 결과는 그대로네요.
업데이트가 필요할땐 시냅틱을 이용하거나 언어를 영어로 바꾸고 업데이트 해야할 것 같습니다:)